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도권 전철 4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도권 전철 4호선은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노선이다. 진접선, 과천선, 안산선을 포함하며, 서울 지하철 4호선 구간은 직류, 과천선과 안산선은 교류 전원을 사용한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완행과 급행 열차가 운행된다.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 일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안산선, 과천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으며, 2022년 진접선이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4호선 - 진접선
    진접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2014년 12월 착공하여 2022년 3월 개통되었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8년 풍양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선
    안산선은 금정역과 오이도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선으로, 안산스마트허브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및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한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199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나폴리 지하철
    나폴리 지하철은 이탈리아 최초의 도시 철도 노선인 2호선을 전신으로 하여 1993년 개통된 1호선을 포함, 현재 1호선, 6호선, 11호선이 운영 중이며, 유물 전시와 "예술의 역"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 공간으로 변화된 역들이 특징적인 이탈리아 나폴리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노선색'#32a1c8'
서울 지하철 4호선 로고
서울 지하철 4호선 로고
노선 종류광역철도
시스템수도권 전철
상태영업 중
기점진접역 (경기도 남양주시)
종점오이도역 (경기도 시흥시)
역 수51
노선 구성진접선
서울교통공사 4호선
과천선
안산선
개통일1985년 4월 20일 (상계 ~ 삼선교)
1985년 10월 18일 (삼선교 ~ 사당)
1988년 10월 25일 (금정 ~ 안산)
1993년 1월 15일 (금정 ~ 인덕원)
1993년 4월 21일 (상계 ~ 당고개)
1994년 4월 1일 (인덕원 ~ 사당)
2000년 7월 28일 (안산 ~ 오이도)
2022년 3월 19일 (당고개 ~ 진접)
운영자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남양주도시공사
영업 거리85.7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복선)
전철화가공전차선, 직류 1,500 V (진접 - 남태령), 교류 25,000 V (선바위 - 오이도)
신호 방식ATC/ATS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C 구간 80km/h, ATS 구간 100km/h
운영 정보
일일 승객 수''
차량 기지''
사용 차량''
노선 번호''
노선 길이총합: 85.7km
서울교통공사 구간: 45.3km
한국철도공사 구간: 40.4km
선로 길이''
최소 곡선 반경''
고도''
웹사이트''

2. 운영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세 기관이 구간별로 시설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지만, 여객 안내는 일반적으로 '4호선'으로 통칭된다. 진접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의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철도특별사법경찰대가 전담한다.[10]

진접선서울 지하철 4호선직류 1,500 V 전철화 및 ATC를 사용하고, 과천선교류 25,000 V 전철화 및 ATC, 안산선은 교류 25,000 V 전철화 및 ATS를 사용한다. 이처럼 직결 운행하는 노선들의 전기 방식과 신호 체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울교통공사 일부 차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차량은 모든 방식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도시철도법에 따라 우측 통행으로 건설된 서울 지하철 4호선과, 기존 철도망에 맞춰 좌측 통행으로 건설된 진접선, 과천선, 안산선을 연결하기 위해 남태령역선바위역 사이에 상하행 선로가 지하에서 입체 교차하는 꽈배기굴이 설치되었으며, 이 구간에는 절연 구간이 있다.

열차 운행 계획은 코레일과의 협의 하에 서울교통공사가 수립한다. 차량은 두 회사가 진접역(경복대) - 오이도역 구간 전체에 걸쳐 사용하지만, 서울교통공사가 보유한 일부 직류 전용 전동차는 교류 전철화된 과천선안산선을 운행할 수 없어 진접역(경복대)~남태령역 구간 운행에만 투입된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는 344회, 코레일 소속 전동차는 154회 운행한다.

모든 역에 정차하는 완행 열차와 함께, 안산선 구간에서 일부 역에 정차하지 않는 급행 열차가 운행된다. 진접역(경복대) - 오이도역 운행 열차는 주로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의 직류 전용 전동차가 투입되며, 나머지 구간에는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의 직·교류 겸용 차량이 투입된다.

2010년부터 안산역을 출발하여 중앙, 상록수역, 산본역, 금정역과 이후 모든 역에 정차하는 급행이 신설되었고, 2014년 9월 1일부터 안산역 방면 급행이 신설되었다. 2017년 7월 10일부터는 수인선 급행과의 연계를 위해 오이도역까지 급행 운행이 연장되었다.[11][12] 이는 같은 날 신설된 수인선 급행과의 연계를 위한 조치였다. 수인선 개통 전까지는 초지역 대신 신길온천역에 임시 정차했다. 향후 급행열차 확대를 위해 과천선대공원역, 정부과천청사역에 대피선을 설치하는 등 시설 개량을 거쳐 급행열차를 운행할 계획이다. 또한, 불암산역부터 남태령역까지 31.7㎞ 구간에도 대피선 설치 등 시설 개량을 통해 급행열차를 운행할 계획이다.[13]

북쪽 끝인 진접역에서 남쪽 끝인 오이도역까지 직통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없으며, 여러 노선으로 나뉘어 운행된다. 진접-사당 구간의 서울교통공사선 내 완결 운행과 불암산-오이도 구간 운행이 일반적이나, 아침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안산 종착 열차도 적지 않게 있다.[8]

3. 연혁

4. 역 목록


행-0.0경기도남양주시406오남Onam梧南2.12.1407풍양
(개통예정)Pungyang豊壤2.64.7408별내별가람ByeollaeByeolgaram別內별가람7.79.8서울 지하철 4호선409불암산Buramsan佛巖山급




차4.414.2서울특별시노원구410상계Sanggye上溪1.215.4411노원Nowon蘆原7호선1.016.4412창동Chang-dong倉洞1호선1.417.8도봉구413쌍문Ssangmun雙門1.319.1414수유(강북구청)Suyu
(Gangbuk-gu Office)水踰(江北區廳)1.520.6강북구415미아(서울사이버대학)Mia
(Seoul Cyber Univ.)彌阿(서울사이버大學)1.422.0416미아사거리Miasageori彌阿사거리1.523.5417길음Gireum吉音1.324.8성북구418성신여대입구(돈암)Sungshin Women's Univ.
(Donam)誠信女大入口(敦巖)우이신설선1.426.2419한성대입구(삼선교)Hansung Univ.
(Samseongyo)漢城大入口(三仙橋)1.027.2420혜화(서울대학교병원)Hyehwa
(Seoul National Univ. Hospital)惠化(서울大學校病院)0.928.1종로구421동대문Dongdaemun東大門1호선1.529.6422동대문역사문화공원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東大門歷史文化公園2호선·5호선0.730.3중구423충무로Chungmuro忠武路3호선1.331.6424명동(우리금융타운)Myeong-dong
(Woori Financial Town)明洞(우리金融타운)0.732.3425회현(남대문시장)Hoehyeon
(Namdaemun Market)會賢(南大門市場)0.733.0426서울역Seoul Station서울驛1호선·경의선 (경의·중앙선인천국제공항철도·경부선0.933.9용산구427숙대입구(갈월)Sookmyung Women's Univ.
(Garwol)淑大入口(葛月)1.034.9428삼각지Samgakji三角地6호선1.236.1429신용산(아모레퍼시픽)Sinyongsan
(AMOREPACIFIC)新龍山style="text-align: left;"|0.736.8430이촌(국립중앙박물관)Ichon
(National Museum of Korea)二村(國立中央博物館)경의·중앙선1.338.1431동작(현충원)Dongjak
(Seoul National Cemetery)銅雀(顯忠院)9호선2.740.8동작구432총신대입구(이수)Chongsin Univ.
(Isu)總神大入口(梨水)7호선1.842.6433사당Sadang舍堂2호선1.143.7434남태령Namtaeryeong南泰嶺1.645.3서초구과천선435선바위Seonbawi선바위2.047.3경기도과천시436경마공원Seoul Racecourse Park競馬公園1.048.3437대공원
(서울랜드)Seoul Grand Park
(Seoul Land)大公園0.949.2438과천Gwacheon果川1.050.2439정부과천청사Government Complex Gwacheon政府果川廳舍1.051.2440과천정보타운
(개통예정)Gwacheon Information Town果川정보타운2.153.3441인덕원Indeogwon仁德院3.054.2안양시442평촌
(한림대성심병원)Pyeongchon
(Hallym Univ. Sacred Heart Hospital)坪村
(翰林大聖心病院)1.655.8443범계Beomgye범계1.357.1444금정Geumjeong衿井●1호선2.659.7군포시안산선445산본
(원광대산본병원)Sanbon
(Wonkwang Univ. Sanbon Hospital)山本
(圓光大山本病院)●2.362.0446수리산Surisan修理山|1.163.1447대야미Daeyami大夜味|2.665.7448반월Banwol半月|2.067.7안산시449상록수
(안산대학교)Sangnoksu
(Ansan Univ.)常綠樹(安山大學校)●3.771.4450한대앞Hanyang Univ. at Ansan漢大앞|수인·분당선1.572.9451중앙
(서울예술대)Jungang
(Seoul Institute of the Arts)中央(서울藝術大)●1.674.5452고잔
(고대안산병원)Gojan
(Korea Univ. Ansan Hospital)古棧(高大安山病院)|style="text-align: left;"|1.475.9453초지
(신안산대)Choji
(Shin Ansan Univ.)草芝(新安山大)●서해선1.577.4454안산Ansan安山●style="text-align: left;"|1.879.2455신길온천Singiloncheon新吉溫泉|style="text-align: left;"|2.281.4456정왕
(한국공학대)Jeongwang
(Tech Univ. of Korea)正往(韓國工學大)●style="text-align: left;"|2.984.3시흥시457오이도Oido烏耳島●수인·분당선1.485.7


5. 차량

현재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10량 1편성으로 총 52개 편성이 창동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운용 중이며, 이 중 25개 편성은 직류 및 ATC 전용, 22개 편성이 직교류 및 ATS/ATC 대응 차량이다. 한국철도공사 차량은 30개 편성이 시흥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으며, 모든 차량이 직교류 및 ATS/ATC에 대응한다.[10]

서울 지하철 4000호대 전동차는 다음과 같이 세대별로 구분된다.

구분1세대 (직류 전용)1세대 (직류 및 교류)2세대3세대4세대
편성 번호4-01~4-26 (퇴역 진행 중)4-51~4-71 (퇴역 진행 중)4-81~4-854-50~4-704-01~4-26



한국철도 341000호대 전동차 (구 한국철도 2030호대 전동차)는 다음과 같이 세대별로 구분된다.

구분2세대3세대4세대
편성 번호341-26~341-30341-31~341-37341-38~341-60



한국철도 341000호대 전동차 (3세대)


과거에는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구 4000호대),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1세대(341-01\~341-25, 2024년 퇴역)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거나 다른 노선으로 이적되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3000호대 전동차(GEC)(구 4000호대 전동차), 2013년 6월


한국철도 341000호대 전동차 (1세대)

6. 기타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은 혜화, 불암산[9], 동대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충무로, 명동, 서울, 삼각지, 총신대입구(이수), 사당, 오이도 역에서 한국어, 영어 외에 중국어, 일본어를 추가한 4개 국어 안내방송을 제공한다.[9] 오이도 인근에는 한국 서해안 최대 규모의 패총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지하철건설현황 http://infra.seoul.g[...] Seoul City Government 2014-02-22
[2] 웹사이트 Metro Lines & Trains in Operation http://info.korail.c[...] Korail 2014-07-25
[3]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1-05-31
[4] 웹사이트 서울시 지하철수송 통계 http://data.seoul.go[...] 2022-07-19
[5] 웹사이트 개요 및 연혁 http://www.seoulmetr[...] 2024-07-12
[6] 웹사이트 EzPDF WebViewer https://gwanbo.go.kr[...]
[7] 뉴스 4호선 금정~사당 급행열차 추진된다 http://www.joongboo.[...] 2017-07-11
[8] 웹사이트 레일.블루 - 열차운전정보 사이트 https://rail.blue/ra[...] 2024-04-30
[9] 기타
[10]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운영 관리구간(도시철도 운영노선현황, 도시철도 운영주체별 운행횟수, 운영주체별 운행현황, 서울메트로,코레일,도시철도공사) http://blog.naver.co[...]
[11] 간행물 경인선·경의선·수인선·안산선 광역 급행 열차 확대 운영 http://www.molit.go.[...]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철도운영과 2017-06-29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letskorai[...] 2017-07-07
[13] 뉴스 서울시, 지하철 4호선 급행화 사업 본격 시동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0-09-10
[14] 기타
[15] 웹사이트 2020년 9월 12일 변경 https://blog.naver.c[...] 2020-09-12
[16] 기타
[17]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